전북자치도, 농수산식품 수출 9.6% 증가…세계시장 공략 본격화

2025년 상반기 수출 3억 1,100만 달러…전국 평균보다 높은 성장률

 

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김성길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가 올해 상반기 농수산식품 수출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며, K-푸드의 글로벌 확산을 주도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KITA)에 따르면 전북의 농수산식품 수출액(1~6월)은 3억 1,100만 달러(약 4,305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9.6% 증가했다. 이는 전국 평균 증가율 8.1%를 상회하는 수치로, 전북 농수산식품의 해외 경쟁력이 한층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2022년 4억 9,700만 달러에서 2023년 5억 500만 달러, 2024년 5억 9,600만 달러로 매년 지속적인 성장 궤도를 그리고 있다. 올해도 상반기 기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수출 증가를 이끈 품목은 라면, 김, 빵류, 김치 등이다. 이들 품목은 고품질 가공기술과 세련된 포장으로 차별화에 성공하며 중국, 일본, 태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를 비롯해 해외 시장에서 수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같은 수출 호조는 기업과 행정이 함께 추진해 온 마케팅과 현장 중심적인 수출 지원 정책이 결실을 맺은 것으로 평가된다. 도는 지역 기업들의 해외 박람회 참가를 적극 지원하며 판로 개척에 나섰다.

 

현지 판촉 행사와 전북 홍보관 운영을 통해 한국 식문화의 이해도를 높이고 우수성을 알렸다. 매주 1개 수출기업을 직접 방문해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해결 방안도 모색하는 '농수산식품 114' 프로그램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

 

올해 1월 출범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 통상정책은 전북의 수출 환경에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한국에 대해 15% 상호관세 부과를 결정하고, 오는 8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이에 전북도는 특정 국가에 대한 수출 의존도를 낮추고 신흥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하는 수출시장 다변화 전략을 본격 추진한다. 기업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새로운 수출길 발굴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민선식 전북특별자치도 농생명축산산업국장은 “전북 농수산식품의 우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세계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춘 품질 고도화와 시장 다변화를 통해 농가와 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안정적인 수출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