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강찬희 기자 | 국회의원 김교흥(더불어민주당, 인천 서구갑, 문화체육관광위원장)과 (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은 전통시장 화재예방 세미나 개최 등을 통해 화재예방 활동을 지속적으로 협력해 왔다. 이를 바탕으로 전통시장의 화재 예방 및 복구 지원에 대한 국민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대국민 설문조사(2025년 8월 7일~13일)를 실시했다.
이번 설문은 일반 국민 506명과 전통시장 상인·운영자 10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화재 위험 인식, 예방 시설 필요성, 보험 가입 현황, 정부 지원 정책 등에 대한 의견을 수집했다.
설문 결과, 전통시장은 여전히 화재 위험이 높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며, 예방 시설 강화와 보험 지원 확대에 대한 강한 수요가 확인됐다.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 화재 위험 인식 및 방문 빈도
이번 조사에서 국민의 76%가 전통시장을 화재에 위험한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83%는 현대식 쇼핑시설보다 위험하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높은 위험 인식은 전통시장 방문 의향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응답자의 32%는 전통시장을 거의 방문하지 않는다고 밝혔고, 월 1~2회 방문에 그친 응답자도 31%에 달했다. 방문을 꺼리는 이유로는 ‘인근에 전통시장이 없어서(57%)’라는 입지적 요인이 가장 많았지만, ‘시설 노후화 및 안전 문제(19%)’도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이는 안전 인프라 미비가 전통시장 기피 현상에 일정 부분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대로 주 1회 이상 전통시장을 찾는 응답자(4%)는 화재 위험을 보통 이하로 인식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36%), 안전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시장 방문을 촉진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확인됐다.
▲ 화재 예방 시설 필요성
국민 다수는 전통시장의 화재예방 시설이 여전히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69%가 “현재 화재예방 시설이 충분하지 않다”고 답했으며, 특히 스프링클러 의무 설치 필요성(92%)과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필요성(92%)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상인들도 같은 문제의식을 공유했다. 전통시장 운영 상인의 60%는 화재예방 시설 수준이 보통 이하라고 평가했으며, 73%는 전기·가스 등 설비 개선이나 방재시설 확충이 시급하다고 답했다.
또한 상인들은 전통시장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노후 전기설비(69%)를 가장 많이 지목해, 구조적 안전 취약성이 여전히 심각함을 보여주었다. 이는 화재예방 시설 강화와 노후 설비 개선이 전통시장 안전대책의 핵심 과제임을 시사한다.
▲ 보험가입 및 지원 정책
국민들은 현행 전통시장 화재공제 제도가 보장 측면에서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응답자의 62%가 현재 보장 한도인 3,000만 원이 충분하지 않다고 답했으며, 최소 1억 원 이상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았다.
또한 국민의 69%는 민간 화재보험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보험료 지원은 화재공제에만 국한해 지원하는 구조에서 벗어나 상인들이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민간 화재보험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아울러 국민의 83%, 상인의 84%가 화재예방 및 복구 지원 제도 강화를 지지하며, 상인들은 화재예방이 곧 시장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제도적 보완을 통해 화재보험 지원 범위를 넓히는 것이 전통시장 안전 확보와 활성화 모두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일반 국민의 70%(353명)는 화재예방 시설이 강화될 경우 전통시장 방문 의향이 높아진다고 응답했다. 상인 그룹의 92%(100명)는 보험료 지원 확대 시 가입 의향을 보였으나, 일반 국민의 34%(171명)는 국비 지원 제도를 전혀 알지 못해, 관련 제도의 인지도 제고가 시급함을 보여주고 있다.
공동 설문조사를 실시한 국회의원 김교흥 의원은 이번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전통시장의 화재 대응과 상인 보호를 위한 정책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화재 예방 시설 강화와 보험 지원 확대를 통해 전통시장의 구조적 취약성을 보완하고, 상인들의 안전망을 재설계해야 하며, 이를 위한 법적·제도적 지원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설문은 전통시장의 화재 안전성을 높이고 시장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진행됐으며, 안실련 이윤호 사무처장은 “국민과 상인 모두 화재 예방 강화에 높은 지지를 보인 만큼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화재 예방 시설 강화(스프링클러 설치,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전기·가스 설비 개선 등)를 통해 화재 위험을 줄이고 전통시장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높여야 하며, 화재 공제 보장한도를 확대하고 민간 보험제도를 화재공제와 함께 정부 지원에 포함시켜 전통시장 보험 가입률을 높임으로써, 화재 발생 시 복구 비용을 담보하고 상인들이 빠르게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라고 말했다.